본문 바로가기
인테리어 도움

[기획연재] 카페인테리어 창업 디자인 - 카페샌디즈편

by 도움주리 2023. 10. 17.
728x90
반응형

카페인테리어 창업 시 참고할만한 디자인 디테일을 알아보자.

카페인테리어 계획 시 SNS에서 핫한 카페를 답사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카페 디자인 답사를 가면 전체적인 분위기와 함께 어떤 것을 어떻게 보아야 하는지 감을 못 잡을 때가 많다.

인테리어 전문가와 함께 동행하여 미팅을 하면 좋겠지만, 여건상 그렇게 할 수 없는 사람들도 많기에

이러한 분들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을 드리기 위해 포스팅을 하고자 한다.

 

"이러한 것들까지 알아야 하나요?!"

하며 반문하시는 분들도 계시겠지만, 식당 주인이 되려면 요리를 직접 할 줄 알아야 하듯,

공간을 구획하고 구성하는 데 있어 왜 저런 식으로 진행이 되었는지 이해하고 공감하며 내 공간에 직접

적용할 수 있다는 건 창업 계획을 세우고 있는 본인에게는 매우 큰 자산이다.

 

이번 주제는 다양한 체험 활동이 완비된 [고급형 키즈카페]이다. 

저출산 시대를 맞아 각 가정의 자녀들이 귀해지면서, 각 아이들에게 들어가는 부모의 투자는 날로 늘어나고 있다.

이에 키즈카페도 다양한 놀이 문화 콘텐츠를 제공하는 고급형 키즈카페가 매해 늘고 있다.

 

키즈카페는 공간별 스토리텔링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그리고 공간을 경험할 주체자를 생각하여야 하는데, 여기서 키즈카페는 실내 놀이터와는 달리 공간 경험 주체자가

아이뿐만 아니라 부모까지도 흡족해야 한다는 사실이다. 

 

고급형 키즈카페를 오는 목적을 생각해 보자.

점심을 먹고, 여유롭게 카페에서 차 한잔이 하고 싶은데 아이가 있다.

아이에게는 체험활동을 통한 정서적 안정 도모를, 부모에게는 차 한잔의 여유를 가능하게 해주는 곳.

그것을 가능하게 해주는 공간을 검색하며(시간을 투자하여) 도심과는 약간 외진 이곳을 찾는다. 

아이와 부모 모두에게 행복한 기억을 심어주는 공간 카페샌디즈를 가보자.

 

728x90

카페샌디즈

 

#1 메인 입구에서 바라보았을 때, 이 카페에 독특한 구성이 눈에 띈다.

카페샌디즈
입구에서 바라본 실내 내부

 

카페샌디즈

이곳은 특이하게도 리셉션(Order area)이 입구 정면에 있지 않고, 안쪽으로 위치해 있어 이곳을 처음 방문한 사람들에게 당혹스러움을 줄 수 있다. 1F은 계단을 중심으로 Seating zone이 크게 좌 우로 나뉘어 있고, 계단 중앙에는 책을 읽는 공간이 따로 배치되어 있다.

리셉션을 메인입구 정면에 배치하면 리셉션의 역할인 방문객과의 인사, 환영, 주문 등 손님과의 소통을 통한 카페의 이미지를 심어줄 수는 반면에 계단 우측에 있는 Seating zone은 자칫 외진 공간이 될 수 있다.

이런 경우 리셉션을 과감히 안쪽으로 배치하면 자연스럽게 동선을 유도, 모든 공간을 활용할 수 있고, Order area의 단점인 어수선한 이미지를 잡을 수 있다.  

 

#2 화장실로 가는 복도

카페샌디즈

목적성이 강한 복도는 대개 단조로운 분위기가 많다. 특히나 화장실로 향하는 복도라면 더더욱..

하지만 이곳은 한 벽면에 턱을 주어 간접조명과 자갈로 분위기를 연출하여 화장실로 들어가는 공간의 표정을 부드럽게 만들었다.

TIP 조명컬러

간접조명과 복도 메인조명 컬러: 주백색   

 

#3 ROOM 표찰

카페샌디즈

벽면을 보면 표찰등이 그림으로 그려져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공간 분위기에 맞춰 디자인 및 재료를 선정해야 하는

부분이지만, 이 방법은 이곳의 아기자기한 분위기와 굉장히 잘 어울린다. 힘을 들이지 않았음에도 눈에 띈다.

 

#4 단점을 장점으로 극대화

카페샌디즈

반응형

2F 모래 놀이터 공간을 위해 바닥에 단차를 주었다. 이 과정에서 바닥과 유리프레임 사이에 틈이 발생하였다.

이 틈새를 이용, 아기자기함과 재미를 동시에 잡은 작은 디테일이 이곳에 숨어 있다.

이 틈새에 모래를 넣고, 유리에는 해변을 연상할 수 있는 그림을 그려 넣어서, 2F에서 1F으로 내려갈 때 시야 안에 

소소한 재미를 느끼게 해 준다. 이것 또한 별 것 아닌 것 같지만 이런 작은 디테일이 재미를 낳고 이러한 것들이 쌓여

공간의 분위기를 만드는 중요 포인트가 된다.

 

#5 가구 마감재 선택

카페샌디즈

2F 물놀이터 공간에 배치된 가구 마감재는 흥미롭다. 자작나무에 아크릴을 덧대어 제작되었다.

가구 마감재로 많이 쓰이는 자작나무 합판과 아크릴판 특징에 대해 알아보자.

 

자작나무 합판의 특징

  • 나뭇결이 뚜렷하고 옹이가 없어 마감 시 깔끔하다.
  • 색상이 따뜻해 추가 가공 없이 사용할 수 있다.
  • 일반 합판에 비해 내구성 및 내수성이 좋다.
  • 합판 절단면(고구찌) 자체로 마감이 가능하다.
  • 일반 합판보다 비싸다.

아크릴판의 특징

  • 투명하다. (투명 아크릴의 경우 시간 경과에 따른 투명성이 저하된다)
  • 컬러가 다양하다.
  • 가볍지만 충격강도가 강화유리에 비해 강하다.
  • 구멍을 뚫거나 절단, 절삭 등 가공이 자유롭다.
  • 표면의 광택이 우수하다.

 

#6 벽 마감재 선택

이곳은 천정고가 높다. 천정고가 높다는 의미는 그만큼 벽도 높다는 뜻이다. 벽이 높다는 의미는 마감 자재와 비용이 

증가한다는 의미이다. 이 높은 벽을 어떻게 디자인하였는지 알아보자.

자세히 보면 A면과 B면의 마감재가 다르다. A면은 석고보드이고, B면은 목공으로 디자인하여 도장으로 마감하였다.

그리고 조명배치를 보면 빛이 하부로 향해있어 A면은 어둡고 상대적으로 B면은 밝다. 시선은 밝은 쪽으로 향하므로

A면의 석고보드는 눈에 잘 띄지 않는다.  

석고보드는 사실 마감재를 붙이기 전 뼈대 벽체를 세울 때 사용되는 자재이다. 이 자재를 마감 자체로 잘 사용하지는

않지만, 여기서는 천정고의 특수성 및 조명의 배치를 이용하여 석고보드를 잘 사용한 예이다.

이것 또한 인테리어 비용절감 시 사용될 수 있는 팁이다.

 

#7 천정디자인

카페샌디즈

천정 디자인의 경우 건축 골조를 이용한 노출 천정을 선택하였고, 천정 컬러와 조명자재컬러를 화이트로 통일하여

깔끔한 느낌을 주었다. 그리고 이곳은 소품이 크게 배치되어 있어 시선이 분산되어 노출천정이 크게 눈에 띄는 편은 아니다.


카페 인테리어 디테일에 대해 알아보았다. 카페 창업 참고 시 전체적인 분위기와 함께 이러한 디테일적인 면들도

지나치지 않고 본다면 공간의 재미를 한 번 더 느낄 수 있을 것이다. 

 

이 글은 본인의 생각을 기재한 글이므로 카페 설계자의 의도와 다를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이우연디자인연구소 | 병원인테리어

이우연디자인연구소 (전 스페이스다다)┃디자인으로 공간의 단점을 보완하고, 고객을 위한 올바른 행동과 약속을 이행하려는 마음가짐을 바탕으로 설계와 시공을 함께 진행합니다 ┃병원인테

www.spacedada.com

 

[무료상담 및 견적] 문의하실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연락 주세요:)

 

 

 

 

 

[기획연재] 카페인테리어 창업 디자인 - 대학로 카페 아티스타

 

[기획연재] 카페인테리어 창업 디자인 - 대학로 카페 아티스타

대학로 카페 아티스타에 공간기획 및 구성에 대해 알아보자. 고객과에 미팅이 있어 오랜만에 대학로를 갔다. 방통대 주차장에 주차를 한 후 마로니에 공원 뒷골목을 빠르게 걷고 있는데 시선을

askinghelp.tistory.com

 

 

 

 

 

 

728x90
반응형